농수산물
신안의 섬들에는 쌀, 양파, 대파, 땅콩, 시금치 등 다양한 농산물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에 비금, 도초도 지역에서 재배되는 시금치는 육지의 것에 비해 30∼40% 이상 비싸게 판매됩니다.
해풍을 받고 자라 당도가 높고 잎과 줄기가 두터워 저장성이 좋기 때문입니다.
1,500여 농가가 1,057㏊의 논과 밭에서 재배하며 200여 억 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1004섬 신안에는 다양한 종류의 해산물이 채취됩니다.
갯벌이 있는 근해에는 낙지, 민어, 병어 등이 잡히고 흑산 등의 먼 바다에는 조기, 불볼락, 홍어 등이 많이 잡힙니다.
또한 우럭, 전복, 새우, 김 등 다양한 수산물이 양식되고 있습니다.
흑산도를 대표하는 물고기 홍어. 삭힌 음식으로도 유명합니다.
홍어에 대한 옛 기록은 1814년 정약전이 집필한 ‘자산어보’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나주읍 인근에서 숙취해소에 좋아 막걸리 안주에 좋고 배앓이에 좋아 즐겨먹는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예전 먼 바다 흑산에서 잡은 홍어를 육지인 나주로 며칠 동안 운반하다보니 자연스레 삭혀져 냄새는 독하지만 독특한 맛에 즐겨먹었다고 전해집니다.
홍어와 같은 연골어류는 다량의 요소가 체내에 있는데 암모니아로 변하면서 세균이 증식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에, 삭힌 홍어를 먹어도 탈이 나지 않는 않는다 합니다. 항아리에 짚을 깔고 열흘에서 한 달 가량 숙성합니다.
홍어는 돼지고기와 김치를 함께 곁들여 먹는 데 이를 ‘홍어삼합’이라 부르며 전라도의 대표적인 잔치 음식입니다.
특히 겨울철에 비금, 도초도 지역에서 재배되는 시금치는 육지의 것에 비해 30∼40% 이상 비싸게 판매됩니다.
해풍을 받고 자라 당도가 높고 잎과 줄기가 두터워 저장성이 좋기 때문입니다.
1,500여 농가가 1,057㏊의 논과 밭에서 재배하며 200여 억 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1004섬 신안에는 다양한 종류의 해산물이 채취됩니다.
갯벌이 있는 근해에는 낙지, 민어, 병어 등이 잡히고 흑산 등의 먼 바다에는 조기, 불볼락, 홍어 등이 많이 잡힙니다.
또한 우럭, 전복, 새우, 김 등 다양한 수산물이 양식되고 있습니다.
흑산도를 대표하는 물고기 홍어. 삭힌 음식으로도 유명합니다.
홍어에 대한 옛 기록은 1814년 정약전이 집필한 ‘자산어보’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나주읍 인근에서 숙취해소에 좋아 막걸리 안주에 좋고 배앓이에 좋아 즐겨먹는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예전 먼 바다 흑산에서 잡은 홍어를 육지인 나주로 며칠 동안 운반하다보니 자연스레 삭혀져 냄새는 독하지만 독특한 맛에 즐겨먹었다고 전해집니다.
홍어와 같은 연골어류는 다량의 요소가 체내에 있는데 암모니아로 변하면서 세균이 증식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에, 삭힌 홍어를 먹어도 탈이 나지 않는 않는다 합니다. 항아리에 짚을 깔고 열흘에서 한 달 가량 숙성합니다.
홍어는 돼지고기와 김치를 함께 곁들여 먹는 데 이를 ‘홍어삼합’이라 부르며 전라도의 대표적인 잔치 음식입니다.

[도초·비금 섬초, 대파 작업, 남도밥상, 함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