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생태관광

생물권보전지역

신안다도해생물권보전지역

신안다도해생물권보전지역

신안다도해생물권보전지역
신안군의 증도, 비금, 도초, 흑산 4개 읍면 573.12㎢은 훼손되지 않은 원시림, 산지습지와 갯벌습지, 생물다양성, 맨손어업, 염전 등과 같이 자연과 공존하는 지역사회의 우수성으로 2009. 5. 26일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지정 이후 생물권보전지역 확대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요청과 군 단위로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신안군 14개 읍면 전역 3,238.74㎢으로 확대되었습니다(2016. 3. 19). 확대된 생물권보전지역에는 지도, 압해도 등의 갯벌지역, 신의도 등의 염전, 우이도 풍성사구, 가거도 독실산 난온대숲, 구굴도 바닷새 집단번식지 등 다양한 서식지가 포함됩니다.
신안다도해생물권보전지역 중 생물다양성이 우수한 핵심지역은 209.99㎢으로 6.5%를 차지합니다. 이는 흑산, 홍도, 우이도 등 국립공원 육지지역과 지도 등 10개 읍면 갯벌도립공원의 갯벌, 가거도 해양보호구역 내 바다가 포함됩니다. 핵심지역을 둘러 싼 완충지역은 1,252.14㎢로 38.7%를 차지하며 국립공원과 갯벌도립공원, 육지지역 외곽의 해상지역이 포함됩니다. 그리고 생활환경인 전이지역은 1,776.61㎢으로 54.8%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보호지역 외의 육지지역과 해상이 포함됩니다.
지정 목적
  • 유네스코 신안다도해생물권보전지역의 우수한 자연경관과 생물종 다양성의 보전을 통하여 지역 농수산물의 지속가능한 생산 및 발전 도모
지정 개요
  • 지정현황
    • 당초 : 573.12㎢ - 4개면 증도, 비금, 도초, 흑산(2009. 5. 26)
    • 변경 : 3,238.74㎢ - 14개 읍면전역(2016. 3. 19)
      ※ 10개 읍‧면 2,665.62㎢ 확대
  • 생물권 지역 주요 자원
    • 장도 및 증도 람사르습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및 신안갯벌도립공원
    • 흑산, 홍도 해식애 등 자연절경과 바닷새번식지 등 풍부한 생물다양성
    • 갯벌이용 맨손어업, 염전, 양식 등 자연과 함께하는 갯살림문화
  • 지정구역현황
    (단위 : ㎢)
    유네스코 신안다도해 생물권보전지역 지정구역현황-구분, 구역별(합계, 핵심, 완층, 협력), 유형별(육상, 갯벌, 해양)로 구성된 표입니다.
    구 분 구역별 유형별
    합 계 핵 심 완 충 협 력 육 상 갯 벌 해 양
    합 계 3,238.74 209.99 1,252.14 1,776.61 668.31 352.50 2,217.93
확대된 신안다도해 생물권보전지역의 구역설정별 면적-구분, 합계(계, 핵심, 완층, 협력), 육상(소계, 핵심, 완층, 협력), 갯벌(소계, 핵심, 완층, 협력), 해양(소계, 핵심, 완층, 협력)로 구성된 표입니다.
(단위: ㏊)
확대된 신안다도해 생물권보전지역의 구역설정별 면적
구 분 합계 육상 갯벌 해양
핵심 완충 협력 소계 핵심 완충 협력 소계 핵심 완충 협력 소계 핵심 완충 협력
합계 323,874 20,999 125,214 177,661 66,831 2,792 1,719 62,320 35,250 13,764 21,486 0 221,793 4,443 102,009 115,341
지도읍 18,941 2,842 5,803 10,296 7,965 0 0 7,965 5,119 2,842 2,277 0 5,857 0 3,526 2,331
압해읍 23,376 1,637 11,454 10,285 6,826 0 0 6,826 8,801 1,637 7,164 0 7,749 0 4,290 3,459
증도면 16,168 2,099 5,490 8,579 3,479 0 334 3,145 3,524 2,099 1,425 0 9,165 0 3,731 5,434
임자면 28,242 0 6,322 21,920 4,629 0 0 4,629 1,527 0 1,527 0 22,086 0 4,795 17,291
자은면 17,981 0 4,000 13,981 5,346 0 0 5,346 1,087 0 1,087 0 11,548 0 2,913 8,635
비금면 28,169 1,513 6,939 19,717 5,316 7 34 5,275 1,850 1,278 572 0 21,003 228 6,333 14,442
도초면 26,494 2,090 14,413 9,991 5,631 938 0 4,693 1,654 1,152 502 0 19,209 0 13,911 5,298
흑산면 84,614 6,015 39,737 38,862 5,436 1,800 1,351 2,285 0 0 0 0 79,178 4,215 38,386 36,577
하의면 20,283 1,321 11,675 7,287 3,561 0 0 3,561 2,084 1,321 763 0 14,638 0 10,912 3,726
신의면 10,511 288 4,633 5,590 3,429 0 0 3,429 1,181 288 893 0 5,901 0 3,740 2,161
장산면 13,334 633 5,289 7,412 2,962 0 0 2,962 1,358 633 725 0 9,014 0 4,564 4,450
안좌면 16,453 1,884 3,460 11,109 6,029 47 0 5,982 3,235 1,837 1,398 0 7,189 0 2,062 5,127
팔금면 6,502 0 1,531 4,971 1,848 0 0 1,848 974 0 974 0 3,680 0 557 3,123
암태면 12,806 677 4,468 7,661 4,374 0 0 4,374 2,856 677 2,179 0 5,576 0 2,289 3,287
신안다도해생물권보전지역 신안다도해생물권보전지역으로 자연경관이 우수하다.[신안의 일출, 원추리, 만재도의 바다]
생물권보전지역 국제활동
동아시아지역의 생물권보전지역간 교류협력을 위해 2011년 9월 20∼23일까지 제12차 동아시아생물권보전지역(EABRN) 네트워크 회의를 증도에서 개최하였습니다. 동아시아 지역 뿐 아니라 동남아, 태평양 지역 18개국 150여명이 참석하여 아시아권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의 마드리드 실행계획 이행의 주제로 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생물권 보전지역간 협력과 정보교류를 위하여 2013년 11월 27일 베트남 갓바국립공원과 생물권보전지역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신안다도해생물권보전지역 동아시아생물권보전지역(EABEN)네트워크, 신안-베트남 갓바생물권보전지역 MOU
홍도
홍도는 목포에서 서쪽으로 약 107km 떨어져 있으며, 면적은 6.42㎢, 500여명의 주민들이 살고 있습니다.
2012년 한국인 꼭 가봐야 할 탐방지 1위에 선정되었으며, 섬전체가 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170호),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홍도는 과거에는 홍의도(紅衣島)라 불리었는데 붉은 옷을 입은 섬이란 뜻입니다.
홍도의 지질은 대부분 사암 종류인데 붉은 색을 많이 띄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합니다.
홍도
홍도는 오랜 기간 파도에 의해 침식된 해안지형과 주변의 남문바위 등 20여 개의 부속섬이 절경입니다.
홍도 사암층에 발달한 단층과 절리면이 거의 수직 방향을 이루고 있으며, 많은 부속도서가 돌기둥 모양으로 솟아서 있는 모습을 하고 있는 특징을 보입니다.
해안선은 드나듦이 비교적 심한 편으로 남쪽과 북쪽이 깊게 만입되어 있습니다.
홍도의 바다의 침식작용, 붉은 빛깔의 바위, 수직 단층면 조화를 이루며 현재의 절경을 이루어 냈습니다.

홍도는 또한 북쪽의 깃대봉(368m)과 남쪽의 양산봉(231m)을 중심으로 섬 전체가 훼손되지 않은 난온대 활엽수림을 보전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구실잣밤나무가 35%로 가장 많고 암반지역의 소나무 21%, 정상부와 능선의 소사나무(11%), 동백나무(3%)가 분포합니다.

식물종은 풍란, 새우난초 등 국제적인 멸종위기종 17종을 포함하여 418종의 관찰되었습니다.
또한 홍도는 흑산도와 함께 철새의 중간기착지로 380여종의 철새들이 관찰되었습니다.
장도
장도의 면적은 약 3㎢으로 주민 100여 명이 살고 있습니다.
산 정상부(최대 273m)에 위치한 산지습지(90,414㎡)는 2003년에 처음 세상에 알려졌으며, 2005년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었습니다.
장도 산지 습지는 정상은 오목하고 하류부는 계곡으로 스푼모양을 하고 있으며 산지습지의 발달은 이러한 지형적 영향에서 기원합니다.
장도 정상 중앙부에 위치한 습지는 화강암, 주위를 둘러싼 산지는 규암으로 구성됩니다.
화강암의 침식이 규암보다 빨라 중앙부가 오목한 모양을 형성하고 주위 규암에서 침식된 모래 등이 빗물과 함께 습지부로 모여 습지를 만드는 여건을 조성합니다.
식물이 썩으면 분해되어 사라지는데 장도 정상부 경사는 5도 미만으로 완만하여 찬 계곡물이 서서히 흐르고, 이는 식물의 분해를 더디게 합니다.
수 천 년 동안 완전히 썩지 않은 식물이 쌓인 층을 이탄층이라 부르며 장도에는 현재 70∼80cm 깊이의 이탄층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장도의 훼손되지 않은 습지와 숲에는 식물 294종, 조류 94종, 포유류 7종 등 500여종의 생물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멸종위기종인 흰꼬리수리와, 수달, 흑산도비비추, 참달팽이 등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입니다.
장도
Sjinan Dadohae Biosphere Reserve
In 2009, the terrestrial area of 573.1㎢ of the four sub-counties, or Heuksando, Bigeumdo, Dochodo, and Jeungdo was designated as Shinan Dadohae Biosphere Reserve (SDBR) due to its values pertained to undisturbed evergreen forest, biodiversity, tidal flat wetlands, and the sustainable life style of local residents.
After some sub-counties were designated as a biosphere reserve, Shinan decided to extend the biosphere reserve to entire 14 sub-countries comprising the area of 3,238.74㎢. The purpose of its extension was to reflect on the requests of local residents who do not live in the region of biosphere reserve and to reinforc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y in the county. The extended biosphere reserve includes a variety of habitats such as the wetlands of Jido and Apaedo, the salt pond of Sinuido, the Pungsung sand hills of Uido, and the warm temperate forests of Gageodo.
The key areas with superior biological diversity comprise about 6.5% (209.99㎢) of Shinan Dadohae Biosphere Reserve. It includes national parks such as islands Heuksando, Hongdo, and Uido, wetland provincial parks of 10 sub-counties, and sea area within marine protected regions. A buffer area surrounding the key areas includes national parks, wetland provincial parks, and sea area in coastal regions, comprising about 38.7% (1,252.14㎢) of the entire regions. In addition, a transitional area, living environments, covers 54.8% (1,776.61㎢) of Shinan County, including land and sea areas outside the protected regions.
Zone Terrestrial Tidal Flat Marine Total
Core Zone 2,792㏊ 13,764㏊ 4,443㏊ 20,999㏊
Buffer Zone 1,719㏊ 21,486㏊ 102,009㏊ 125,214㏊
Transition Area 62,320㏊ 0㏊ 115,341㏊ 177,661㏊
Total 66,831㏊ 35,250㏊ 221,793㏊ 332,874㏊
  • The 12th East Asian Biosphere Reserve Network(EABRN) Sep.20-23 2011 Jeungdo, Shinan Korea The 12th East Asian Biosphere Reserve Network(EABRN) Sep.
    20-23 2011 Jeungdo, Shinan Korea
  • The MOU between the biosphere reserves of Shinan and Cat Ba Bietnam, Nov. 27 2013, Mokpo, Korea The MOU between the biosphere reserves of Shinan and Cat Ba Bietnam,
    Nov. 27 2013, Mokpo, Korea
Hongdo Island
Hongdo Island is 107km apart from Mokpo mainland in Korea, and its area is about 6.42㎢. 500 residents in this island have lived with fisheries and tourism.
The whole area of the island was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 in 1965 and also as the Dadohae Marine National Park in 1981.
Hongdo once called Honguido, or the island with red clothes, due to the red color of the rocky outcroppings. The most of rocks in Hongdo are sandstone with red color.
Hongdo Island
This island also has well preserved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f forest neighboring the two peaks of Gitdaebong (378m) and Yangsanbong (231 m).
The vegetation type is mainly Castanopsis sieboldii(35%), and Pinus densiflora(21%) in the rocky area. 418 species of plants and 380 species of birds inhabit Hongdo Island.
Jangdo Island
The area of the Jangdo Island is about 3㎢, and 100 residents have lived with fisheries in the island. In particular, Jangdo Island High Moor (90,414㎡) was publicly announced in 2003 and then was designated as ‘Ramsar Wetland’ in 2005 due to the values of wetlands discovered in such a small island.
The concave landform of Jangdo wetland was formed due to different weathering speeds of two rocks: granite in the bottom and sandstone in the surrounding area. The granite more rapidly weathers than sandstone, thus eventually making a concave landform of Jangdo.
When plants die, decomposers remove their bodies. However, the broad and slow gradient of Jangdo Island valley retards the flow of water. Thus, sustained fresh cold water slows down the decomposition of plants, and the undecayed organisms make a layer that oxygen cannot penetrate.
Peat is an accumulation of partially decayed vegetation matter, and Jangdo's peat layers (70-80 cm in depth) are well preserved until now.
Jangdo Island